를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3,69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768개 🌏세 글자: 3,690개 네 글자:5,970개 다섯 글자:3,813개 여섯 글자 이상:7,860개 모든 글자:22,102개

  • 계피 : (1)계피정과 시럽과 물을 한데 섞어 익힌 술. 건위 따위에 효과가 있다.
  • 낫배 : (1)‘주낙배’의 방언
  • 네이 : (1)‘지네’의 방언
  • 소자 : (1)볶은 차조기의 씨를 짓찧어 헝겊 주머니에 넣고 담근 술. 사흘쯤 지난 후에 마신다.
  • 춘증 : (1)봄을 몹시 타는 병증.
  • 마니 : (1)‘주머니’의 방언
  • 택권 : (1)주택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권리. 주택을 소유하고 매매하는 일과 관련된 권리, 적절한 주거 공간을 확보하는 일과 관련된 권리, 깨끗하고 안전한 주거 환경에서 살 권리 따위를 이른다.
  • 간반 : (1)학원이나 강습소 따위에서 낮 시간대에 개설한 반.
  • 룩살 : (1)‘주름살’의 방언
  • 우선 : (1)보통주에 비하여 이익이나 이자의 배당 또는 남아 있는 재산의 분배 따위의 재산적 이익에 관하여 우선적 지위에 있는 주식.
  • : (1)다른 것이 조금도 섞이지 아니한 순수한 주정.
  • 립대 : (1)주에서 세워 직접 관리하고 운영하는 대학.
  • 구중 : (1)서로 다른 아홉 개의 악기로 이루어지는 합주.
  • 진지 : (1)공격을 하거나 방어를 할 때에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하는 진지.
  • 현국 : (1)구한말에, 내무아문에 속하여 각 지방의 사무를 감독하는 일을 맡아보던 부서.
  • 황도 : (1)중국 명나라 말기의 충신(1585~1646). 자는 유현(幼玄)ㆍ이약(螭若). 호는 석재(石齋). 여러 학문에 통달하고 서화(書畫)에도 뛰어났다. 당왕 때 무영전 대학사(武英殿大學士)로서 명조(明朝)의 회복을 꾀하였으나 청군(淸軍)에게 붙잡혀 죽었다.
  • 기업 : (1)기업을 소유한 사람.
  • : (1)외국인이 그 나라에서 살 수 있는 권리. (2)중세 유럽에서, 영주가 행사하던 권리. 토지 소유권, 인신 지배권, 재판권 따위이다.
  • : (1)경주에 출전시키기 위하여 훈련된 개.
  • 사구 : (1)풍력에 의하여 모래가 이동하여 퇴적된 언덕이나 둑 모양의 지형인 사구의 본체.
  • : (1)우주를 비행할 때에 휴대하는 음식물. 가볍고 부피가 작은 것으로, 단백질ㆍ지방ㆍ탄수화물ㆍ비타민ㆍ무기질 따위가 충분히 들어 있다.
  • : (1)악기를 다루어 표현하거나 들려줄 수 있도록 만든 곡.
  • : (1)꽃잎에 나타나는 잔줄.
  • 거비 : (1)가계 지출 가운데, 주거에 소요되는 경비. 집세, 수도 요금, 화재 보험료 따위가 있다.
  • 떡메 : (1)삶은 콩을 찧어 덩이로 만든 메주.
  • 리드 : (1)중심 단자를 일차 권선에 결합시키는 도체.
  • 홍칠 : (1)주홍빛으로 칠함. 또는 그 칠.
  • 골소 : (1)뼈에 포함된 유기 물질의 핵심 부분.
  • 준자 : (1)‘주전자’의 방언
  • : (1)항문을 이루는 창자의 끝부분.
  • 모개 : (1)모과로 담근 술
  • : (1)술을 마신 양.
  • 석류 : (1)석류를 넣고 담근 술. 껍질은 벗겨 내고 알맹이로만 담근다.
  • 뒤재 : (1)몸을 이리저리 묘하게 돌려 엎드리는 재주. ⇒남한 규범 표기는 ‘뒷재주’이다. (2)뒤에서 부정적인 꾀를 부리거나 좋지 아니한 일을 몰래 꾸며 시행하는 것. ⇒남한 규범 표기는 ‘뒷재주’이다.
  • 집 메 : (1)가정에서 직접 만든 메주.
  • 이면 : (1)조선 고종 때의 문신(1827~1910). 자는 윤래(允來). 호는 계은(桂隱)ㆍ하계(霞溪). 벼슬은 정언(正言)에 이르렀다. 을사조약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고, 국권 강탈 때 스스로 음독하여 순국하였다.
  • : (1)개인이 사사로이 돈을 주조함. 또는 그 돈.
  • 임목 : (1)산림에서 기본이 되는 나무.
  • : (1)소주를 마시는 데 쓰는 작은 컵.
  • 조업 : (1)술을 빚어 만드는 영업.
  • 오정 : (1)솔잎, 구기자, 천문동(天門冬), 백출(白朮), 황정(黃精)으로 빚어 만든 술.
  • 아황 : (1)멥쌀과 누룩을 섞어서 발효시킨 전통술의 하나.
  • 소흥 : (1)중국 사오싱 지방에서 나는 양조주. 찐 찹쌀과 보리로 만든 누룩을 섞어서 발효시켜 여과하여 만드는데 신맛이 나며 황갈색을 띤다. ⇒규범 표기는 ‘사오싱주’이다.
  • 장자 : (1)선사(禪師)들이 좌선할 때에나 설법할 때에 가지는 지팡이. (2)중국 징더전(景德鎭)에서 나는 자기에 주장(九江) 지방에서 꽃무늬를 넣어 손질한 자기. (3)자기의 의견이나 주의를 굳게 내세우는 사람.
  • 제약 : (1)제약 사업과 관련된 주식.
  • 전력 : (1)부하 회로와 스위칭 손실을 포함하는 전력 회로 요소에서 소비되는 전력.
  • 급등 : (1)단기간에 그 가치가 급상승한 주식.
  • : (1)현재 머물러 살고 있는 장소. 또는 앞으로 머물러 살 장소.
  • 련경 : (1)기둥에 걸게 된 좁고 긴 거울.
  • : (1)무덤 앞의 양쪽에 세우는 한 쌍의 돌기둥. 돌 받침 위에 여덟모 진 기둥을 세우고 맨 꼭대기에 둥근 대가리를 얹는다.
  • 문장 : (1)복합문에서 주가 되는 부분. (2)물품 따위를 주문하는 데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적은 글이나 문서. (3)주문을 받은 쪽에서 주문자의 인적 사항과 주문품의 명칭, 수량, 값 따위를 기록한 장부.
  • : (1)‘느닷없이’의 방언
  • 아공 : (1)해금의 줄감개를 꽂는 입죽 위쪽에 뚫린 구멍.
  • : (1)우주여행의 중계 기지로 고안된 대형의 인공위성. 지구를 도는 위성, 어떤 천체와 지구를 왕복 선회하는 위성,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인공 행성 따위가 있다.
  • 인형 : (1)긴 본체 아래 양쪽에 짧은 버팀목을 대어서 마치 사람이 서 있는 듯한 모양으로 만든 전봇대.
  • 북가 : (1)북쪽 가주(加州). 흔히 샌프란시스코를 포함하는 캘리포니아주 북부를 이른다.
  • : (1)집안의 남자 주인을 높이거나 스스럼없이 이르는 말. (2)아내가 남편을 이르는 말.
  • : (1)‘비죽’의 본말.
  • 우량 : (1)수익과 배당이 높은 일류 회사의 주식.
  • : (1)술을 거르는 헝겊. 중국 진(晉)나라 때에, 술을 좋아하던 도연명이 두건으로 술을 거른 데서 유래한다.
  • 리풀 : (1)‘송장풀’의 방언
  • : (1)전날의 술기운으로 거북한 속을 풀기 위하여 먹는 국.
  • 구리 : (1)‘저고리’의 방언
  • : (1)횡문근의 수축 원리를 근원 섬유인 액틴 필라멘트와 미오신 필라멘트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이루어진다는 학설.
  • : (1)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규산염 광물. 사방 정계에 속하는 기둥 모양 결정으로, 장미색, 자주색, 녹회색 따위를 띠고 광택이 있다. 높은 온도에서 잘 견디므로 내화물로 쓴다. 우리나라 특산물로, 경기ㆍ전북ㆍ평남ㆍ평북 등지에서 난다.
  • 포 당 : (1)스웨이드 가죽과 비슷한 느낌의 광택이 적은 수자직의 천.
  • 계세 : (1)왕위(王位)를 이어받은 임금.
  • 향온 : (1)멥쌀과 찹쌀을 쪄서 식힌 것에 보리와 녹두를 섞어 만든 누룩을 넣어 담근 술.
  • 거리 : (1)‘저고리’의 방언
  • 니어 : (1)체급 경기에서, 같은 체급을 다시 둘로 나눌 때 가벼운 쪽을 이르는 말. (2)나이 어린 운동선수의 총칭.
  • 류화 : (1)사상이나 학술 따위의 주된 경향이나 갈래가 됨. 또는 그렇게 만듦. (2)조직이나 단체 따위의 내부에서 다수파가 됨. 또는 그렇게 만듦.
  • : (1)발목을 묶고 나무를 정강이 사이에 끼어 굵은 줄로 넓적다리를 엇갈리게 묶은 뒤 양쪽에서 줄을 당기는 고문.
  • 거민 : (1)일정한 곳에 머물러 살고 있는 사람.
  • : (1)중국 랴오닝반도(遼寧半島) 서쪽에 있는 만. ⇒규범 표기는 ‘진저우만’이다.
  • 입률 : (1)접합부에서 반송자 주입으로 전류가 통하고 있을 때 접합부에 흐르는 전도 전류 중 소수 운송자 전류가 차지하는 비율.
  • 기적 : (1)일정한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진행하거나 나타나는. 또는 그런 것.
  • 력체 : (1)선단을 구성하여 이동하는 상선이나 군함들 중에서 그 중요도가 가장 높은 선박.
  • 극풍 : (1)지구의 위도권(緯度圈)을 따라 동에서 서로 향하여 부는 바람. 적도 지대의 대류권 상층에서 가장 활발하다. 하층에서는 동북 또는 동남 무역풍이 된다.
  • : (1)고생대의 데본기에 번성했던 원시 어류의 하나. 그 후 멸종하여 현재는 화석으로만 남아 있다. 몸의 길이는 30cm 정도이며, 입에는 이가 없다. 머리와 몸통의 앞부분은 골판이라고 하는 석회질의 단단한 판으로, 뒷부분은 비늘로 덮였다.
  • 속사 : (1)혼담이 결정된 뒤에 정식으로 사주단자에 적어 보내는 신랑의 사주.
  • : (1)술을 마시고 취하여 정신없이 하는 말이나 행동.
  • 형틀 : (1)나무나 쇠 따위로 거푸집을 만들 때 쓰는 틀.
  • 콜라 : (1)근대 미술에서, 화면에 종이ㆍ인쇄물ㆍ사진 따위를 오려 붙이고, 일부에 가필하여 작품을 만드는 일. 광고, 포스터 따위에 많이 쓴다.
  • 연자 : (1)어떤 일을 주장하여 꾸며 진행하는 사람. (2)연극이나 영화에서 주연하는 사람.
  • 글살 : (1)주름진 살갗. 또는 그런 주름.
  • : (1)두 가지 이상의 악기로 동시에 연주하는 능력.
  • : (1)황해도 북쪽에 있는 군. 석회암, 철광석 따위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사과가 유명하다. 명승지로 황주 성지, 월파루, 성불사 따위가 있다. 군청 소재지는 황주, 면적은 873.62㎢.
  • : (1)‘아제’의 방언 (2)‘아저씨’의 방언
  • 계화 : (1)계수나무의 꽃으로 빚은 술.
  • 생소 : (1)안주 없이 마시는 소주.
  • 정상 : (1)등산을 할 때, 산 정상에서 마시는 술.
  • : (1)몹시 심하게 구는 주인.
  • 저우 : (1)중국 후난성(湖南省) 동부에 있는 광공업 도시. 샹수이강(湘水江) 동쪽 기슭에 있으며 교통 요충지로 부근에서 석탄, 철 따위가 많이 난다.
  • : (1)강원도의 동쪽 중앙에 있던 군. 1995년 5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강릉시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 : (1)육상ㆍ수영ㆍ경마ㆍ골프 따위에서, 달리거나 나아가는 길.
  • 추세 : (1)1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주가의 움직임.
  • : (1)음악을 연주하여 청중에게 들려주는 모임.
  • : (1)중국 명나라 성조인 영락제 때에, 남만주의 건주 지역에 사는 여진족을 다스리기 위하여 설치한 군영. 이후 여진족의 부족장에게 지휘권을 넘겨주었으며, 건주 좌위와 건주 우위가 새로 생겨남에 따라 건주 삼위가 되었다.
  • 병경 : (1)병경 제도에 의하여 도지권(賭地權)을 가진 소작인.
  • 수염 : (1)사염주의 하나. 느낌이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통찰하여 마음을 챙기는 것을 이른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

실전 끝말 잇기

주로 시작하는 단어 (5,035개) : 주, 주가, 주가 괴리율, 주 가구, 주가 규제, 주가 그래프, 주가 기준 가치 평가, 주가 등락률, 주가 매출액 비율, 주가 변동성, 주가 변동 준비금, 주가 상승 보상제, 주가 수익률, 주가 수익 비율, 주가 수익 성장 비율, 주가 순이익률, 주가 순이익 비율, 주가 순자산 배율, 주가 순자산 비율, 주가 순자산율, 주가 실질 등락률, 주가 연계 신탁, 주가 연계 증권, 주가 연계 펀드, 주가 영업 현금 흐름 비율, 주가옹, 주가 워런트 증권, 주가 이동 평균, 주가 이동 평균선, 주가 이익 배수 ...
주로 시작하는 단어는 5,03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주를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3,69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